NHN 클라우드에서 스토리지 스냅샷을 하고 난 후에 그 스냅샷을 가지고 더 용량이 큰 블록스토리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림과 함께 보자면

위와 같이 10GB짜리 스토리지의 스냅샷을 생성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기존 10GB였던 스토리지 스냅샷을 통해 70GB의 블록 스토리지를 생성하고 서버에 연결하면

OS에 아래와 같이 나온다.

실제로 디스크의 크기는 30GB이고 /dev/vdb1의 파티션 크기는 기존 스냅샷 용량과 동일한 10GB인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뭘해줘야할까?
파티션의 사이즈와 파일 시스템 사이즈를 리사이징 해주도록 하자.
아! 참고로 록키이며 파일 시스템은 xfs다.
그냥 마운트 상태에서 했다 난.
리사이징 전

리사이징 후

데이터 손실 없이 파일시스템 증설을 했다.
사용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딱 2개만 쓰면 된다.
1. parted /dev/vdb resizepart 1 100%
## "/dev/vdb"는 할당된 스토리지이고 "숫자 1"은 파티션 번호이고 "100%"는 스토리지에 있는거 그냥 다 할당
2. xfs_growfs /dev/vdb1
결론
1. 파일 시스템 작업이니 잘못하다간 파일이 다 깨질 수 있으니 원본 스토리지나 원본 스냅샷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원본이나 백업본이 있어야한다.
'NHN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NHN Cloud - NKS ] 쿠버네티스 탐험하기 #1 (2) | 2023.12.26 |
---|---|
NHN Cloud의 Object Storage 서비스 with S3 Client ( CLI Client )이용하기 ( feat. Service Gateway ) (0) | 2023.06.16 |
NHN Cloud의 서버 인스턴스 접속하기 from 맥북 -> ssh key 사용 (0) | 2023.06.14 |
NHN 클라우드 디스크 추가 및 확장 ( CentOS LVM 으로 파일 시스템 구성 ) (0) | 2023.06.13 |
NHN Cloud Server VM 스펙 변경 (0) | 2023.06.13 |